- 이번 여행 중 탐조된 새 목록(가나다순, *표시는 텃새)
노랑지빠귀, *노랑턱멧새, *딱새, *박새, *쇠딱따구리, *어치, *오색딱따구리, 유리딱새, *직박구리
서오릉에 산책 겸 탐조를 위해 방문합니다.
서오릉은 5곳의 왕릉, 2곳의 원, 1곳의 묘가 있습니다. 능(릉), 원, 묘의 차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능: 왕(추존된 왕 포함), 왕비(추존된 왕의 왕비 포함)의 무덤
>원: 왕의 사친(후궁, 왕족), 왕세자, 왕세자비의 무덤
>묘: 일반인의 무덤
각 무덤의 간략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명릉(인원왕후(세번째,좌), 조선19대-숙종(우), 인현왕후(두번째,우))
-익릉(인경왕후(조선19대 숙종의 첫번째 왕비))
-경릉(추존 덕종(세조 맏아들,성종의 형,우), 소혜왕후(좌))
-홍릉(정성왕후(조선21대-영조의 첫번째 왕비))
-창릉(조선8대-예종(좌), 안순왕후(두번째,우)
-수경원(영빈 이씨(조선21대 영조의 후궁))
-순창원(순회세자(조선 13대 명종 맏아들) 공회빈 윤씨(신주))
-대빈묘(희빈 장씨(조선19대 숙종의 후궁))
* 현재 일부 구간(서어나무길,소나무길)은 현재 통제입니다. 아마 결빙 구간이거나 멧돼지와의 반가운 조우를 방지하기 위함인 듯 합니다.
딱새 - 수컷
유리딱새 - 암컷
명릉 안내도
좌측에 홀로 위치한 것은 조선19대 숙종의 세번째 왕비인 인원왕후 무덤입니다.
우측에는 조선19대 숙종(좌)과 두번째 왕비인 인현왕후(우)의 무덤입니다.
쇠딱따구리 - 언제봐도 귀엽습니다.
쇠딱따구리
쇠딱따구리
수경원 안내도
조선21대 영조의 후궁인 영빈 이씨의 무덤입니다.
익릉 안내도
조선19대 숙종의 첫번째 왕비인 인경왕후의 무덤입니다.
오색딱따구리 - 수컷
어치
박새
대빈묘 - 서어나무길은 통제입니다.
순창원 안내도
조선 13대 명종 맏아들인 순회세자의 무덤입니다. 세자빈이지만 공회빈 윤씨는 세상을 떠났을 때 임진왜란으로 시신을 못찾아 무덤은 없고 신주로 합장중이라고 합니다.
경릉 안내도
좌측편에 위치한 것은 덕종의 무덤입니다. 덕종은 조선7대 세조의 맏아들(의경세자)이었으나 왕이 되기 전 세상을 떠나 추존되었습니다.
우측에는 세자빈인 소혜왕후의 무덤입니다.
대빈묘 안내도
조선19대 숙종의 후궁인 희빈 장씨의 무덤입니다.
홍릉 안내도
조선21대 영조의 첫번째 왕비인 정성왕후의 무덤입니다. 능의 왼편이 비어 있는 데 영조가 생전에 자리를 만들어 두었지만, 현재 영조의 무덤은 구리 동구릉에 원릉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창릉 안내도
왼쪽에는 조선 8대 예종의 무덤입니다.
오른쪽에는 예종의 두번째 왕비인 안순왕후의 무덤입니다.
노랑지빠귀 - 암컷 겨울깃
노랑턱멧새 -암컷
박새 - 암컷
직박구리
세시간 가량 천천히 요리 조리 살펴 보았지만, 생각보다 많은 새를 보진 못했네요.
입장할때는 바람도 불고 제법 추웠는 데, 햇님이 나타난 후에는 제법 따뜻한 기운이 돌았습니다.
어치 세마리가 열심히 울었는 데 타이밍을 놓쳐서 울음 소리를 동영상으로 담는 것을 실패한 것이 좀 아쉽습니다.
마치 목이 쉰 까마귀 소리였는 데 말이죠.
'아웃도어 > 탐조-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한산성 2월 겨울 탐조 - 청딱따구리 울음소리 (2025-02-04) (0) | 2025.02.04 |
---|---|
국립수목원 광릉숲 둘레길 7코스 산림욕길 일부 구간 봉선사~광릉숲교, 광릉 탐조, 남양주 21번 버스 시간표 (2025-02-02) (2) | 2025.02.02 |
설날 명절 무료 개방 조선 궁궐(덕수궁, 경복궁, 창경궁, 창덕궁) 탐조, 창경궁 대온실 개화(동백, 매화, 명자나무, 영춘화) 소식 (2025-01-29) (0) | 2025.01.30 |
인천 강화도 동검도 두루미(학, 단정학)와 황조롱이 대중교통 뚜벅이 탐조 당일 여행. 60-5번 버스 시간표 (2025-01-17) (1) | 2025.01.17 |
경기도 여주시 겨울 새(텃새, 철새) 하천 탐조 (2025-01-13) (0) | 2025.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