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컴퓨터

인터넷 연결 공유 (2008-06-06)

야생화정보마당 2021. 7. 16. 07:34
반응형

●인터넷 공유란?

인터넷 공유는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하기 위해 컴퓨터는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을 하게 되는 데 이때 사용되는 IP가 컴퓨터 한대당 1개씩 할당이 되어지는 데 기본적으로는 하나의 IP를 여러개의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가 없지만,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인터넷 공유라 한다.


●인터넷 공유의 방법

  • 하드웨어 방식
    일반적으로 IP공유기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IP공유기는 할당되는 한개의 IP를 자동으로 여러대의 IP에 가상의 IP로 할당하여 동시에 여러대의 컴퓨터를 서비스가 가능하게 해준다.

  • 소프트웨어 방식
    운영체제(win98, win2000, winxp)등의 기본적인 제공되는 인터넷 연결 공유 기능을 사용하거나 소프트웨어적인 IP공유 방식 소프트웨어인 SYGATE와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마찬가지로 여러대의 컴퓨터를 한개의 공인 IP만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IP란?

    IP는 Internet Protcol의 약자로 인터넷에 수많은 컴퓨터가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하기 위한 규약을 의미한다. 그리고 IP Address는 각 컴퓨터가 통신을 하기 위한 주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우체부(인터넷)가 우편(패킷)을 배달하기 위한 번지(주소)를 생각하면 된다.


    ●케이블(UTP 케이블)의 종류 : 인터넷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UTP 케이블이라 하여 Category 5라는 100Mbps용 케이블을 사용한다.

  • 다이렉트 케이블(Direct Cable)
    양단의 송신(TX) 신호와 수신(RX) 신호가 1:1로 매핑이 되어지는 케이블로 아래와 같은 색상을 가지게 된다. 이 케이블을 사용하여 두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려면 중간에 허브라는 장치가 수신 신호를 송신 신호로 또한 송신 신호를 수신 신호로 전환해 주어야 한다. 상식적으로 2대의 컴퓨터가 통신을 하기 위해 한대의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에 데이터를 보내면(송신) 다른 컴퓨터는 받아야(수신) 하는데 다이렉트 케이블은 보내는 쪽이 송신하면 받는 쪽이 송신하고, 받는 쪽이 수신하려는데 보내는 쪽이 수신하려 하니 당연히 다이렉트 케이블 만으로는 컴퓨터 2대를 공유할 수가 없다.

  • 흰주[1, 송신(TX)+], 주황[2, 송신(TX)-], 흰녹[3, 수신(RX)+], 녹색[6, 수신(RX)-]

  • 크로스 케이블(Cross Cable)
    수신과 송신 부분을 꼬아 줌으로써 한쪽 단의 송신 신호는 다른 단의 수신 신호로 또한 한쪽 단의 수신 신호는 다른 단의 송신 신호로 되어 즉 한쪽 컴퓨터에서 보내면(송신) 다른쪽에서 받게(수신) 되는 구조로서 이때는 이 케이블 만으로 두대의 컴퓨터로 연결을 할 수가 있게 된다. 사용 용도는 컴퓨터와 컴퓨터의 연결 혹은 UPLINK ,MDI-X, daisychain가 없는 허브간의 연결에 사용된다.

  • 흰주[1, 송신(TX)+], 주황[2, 송신(TX)-], 흰녹[3, 수신(RX)+], 녹색[6, 수신(RX)-]


    ●UTP 케이블의 용도별 사용되는 선 번호

  • Token Ring : 3,4,5,6
  • ATM ,DSU,FDSU : 1,2,7,8
  • 100VG-AnyLAN : 1,2,3,4,5,6,7,8
  • 10M ethernet : 1,2,3,6
  • 100M ethernet : 1,2,3,6
  • giga ethernet : 1,2,3,4,5,6,7,8
  • CSU,ROUTER : 1,2,4,5


    ●허브의 종류 : 허브의 기능은 컴퓨터간의 네트워크 연결, 라우터등 타 네트워크 장비와의 연결, 감쇠된 신호의 증폭이다. 허브에는 기종별로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UPLINK ,MDI-X, daisychain라는 포트가 1개에서 2개가 있으며, 그 외 포트 즉 Normal Port로 구성되어진다. UPLINK ,MDI-X, daisychain의 용도는 허브와 허브사이의 연결을 다이렉트 케이블로 사용하기 위해 한쪽의 연결할 때 사용된다. 만일 허브 2대 모두 Normal Port로 접속하려면 크로스 케이블이 필요하다.

  • 더미허브(Dummy HUB) : 단순한 허브로 인털리젼트(고성능 관리) 기능이 없다. 포트 수가 고정이며, 추가가 쉽고, 소규모 네트웍에서 많이 사용된다. 단점은 접속 컴퓨터가 증가될 수록 속도가 느려진다.
  • 인텔리젼트허브(Intelligent HUB) : 고성능 관리기능의 부여로 자동 통계치 수집및 개인 포트제어와 세그먼트를 분할할 수 있다. SNMP 프로토콜이 내장된다.
  • 스위칭허브(Switching HUB) : 단순한 더미허브의 경우 모든 패킷을 모든 포트로 중계하는 것에 반해 스위칭 허브는 패킷을 필요한 포트로만 보내며, 부하조절기능을 할 수가 있다. 또한 트래픽에 따라 서로 다른 세그먼트를 동적으로 재할당 할 수가 있다.


    ●연결에 따른 케이블의 선택

  • 컴퓨터 - 컴퓨터 : 크로스 케이블
  • 컴퓨터 - 허브 : 다이렉트 케이블
  • 허브 - 허브 : 다이렉트 케이블(한쪽은 Uplink) or 크로스 케이블(양쪽 모두 Normal Port)
  • IP공유기 - 허브 : 다이렉트 케이블(허브쪽은 Uplink) or 크로스 케이블(양쪽 모두 Normal Port)
  • IP공유기 - 컴퓨터 : 다이렉트 케이블
  • ADSL모뎀 - 컴퓨터 : 다이렉트 케이블
  • ADSL모뎀 - IP공유기 : 다이렉트 케이블
  • ADSL모뎀 - 허브 : 다이렉트 케이블(허브쪽은 Uplink) or 크로스 케이블(양쪽 모두 Normal Port)


    ●IP공유기의 하드웨어방식과 소프트웨어 방식의 장단점

  • 하드웨어방식(IP공유기)

    - 장점

    1. 각 컴퓨터가 균등한 대역폭을 유지한다. IP공유기의 내부 스위칭 방식의 대역폭 최대 100Mbps를 지원.
    2. 각 컴퓨터가 서로의 인터넷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3. 독립적인 환경구성으로 안정된 서비스. 즉 한대의 컴퓨터가 꺼진다고 해서 나머지 컴퓨터가 인터넷 서비스의 장애가 발생치 않는다.
    4. IP공유기에 방화벽 역할도 어느정도 보유하여 부당한 외부로 부터의 공격에 어느정도 방어가 가능하다.

    - 단점

    1. 비용이 소프트웨어 방식에 비해 약간 비싸다.
    2. 모든 컴퓨터가 특정 서비스(MSN의 파일 다운로드, 특정 FTP 서버 접속등)가 되지 않는다.

  • 소프트웨어방식(서버-클라이언트, SYGATE등의 소프트웨어로 구성)

    - 장점

    1. 비용이 저렴하다(공짜(?)로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다).
    2. 구성이 하드웨어 방식에 비해 그리 어렵지 않다.

    - 단점

    1. 서버-클라이언트 모델로 서버가 장애가 발생하면 이하 소속된 클라이언트들의 인터넷 서비스가 장애를 미치게 된다.
    2. 하드웨어 방식에 비해 클라이언트들은 속도가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
    3. 여러대일경우 허브로 연결하게 되는데 허브의 성능에 따라 또는 연결되는 컴퓨터 대수에 따라 속도가 보장되지 않으며, IP공유기보다 동시 인터넷 사용 대수가 많지 않다. 더미허브의 경우 대역폭 최대 10Mbps를 지원하지만, 연결대수의 1/n의 대역폭 감소율이 있다.
    4. 서버를 제외한 클라이언트들은 특정 서비스(MSN의 파일 다운로드, 특정 FTP 서버 접속등)가 되지 않는다.


    ●IP공유기의 일반적인 연결방법 : 본 방법은 기본적인 방식(국내 유통되는 IP공유기 4대정도의 구성해본바 본 지식을 어긋나는 경우가 없었다.)으로 전문적인 조작이나 자세한 설정 방법은 설명서를 참조한다.

    1. 자신이 사용하는 인터넷 서비스의 숙지 : 인터넷 서비스의 방법에는 아래와 같은 방법이 있다. 자신이 어떤 것에 해당하는 지 알 필요가 있다. 로그인이 필요하다면 당연히 자신의 ID와 암호정도는 알아야 겠다.

      -케이블 모뎀(TV 동축케이블) : 일반적으로 유선또는 케이블 방송사가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로 모뎀에 연결하는 선이 말 그대로 TV 동축 케이블을 사용한 서비스 방식이다. 분류방법으로는 로그인 방법으로서 로그인이 필요한 PPPoE 방식과 로그인이 필요치 않는 None 방식(기본)이 있다.
      -xDSL/ADSL(전화선 케이블) : 일반적으로 한국통신 또는 하나로통신이 제공하는 전화선을 사용한 서비스 방식이다. 분류 방법으로는 로그인이 필요한 PPPoE방식(기본)과 PPTP 서버의 IP주소를 필요로하는 가상사설망인 PPTP방식과 로그인이 필요치 않는 None 방식이 있다.
      -기타 : Telstra Bigpond 케이블방식, SingTel RAS, 고정 무선랜방식 등이 있다.

    2. 자신이 인터넷 서비스를 받을 경우 고정IP 방식인지 유동IP 방식인지 숙지 : 일반적으로 유동IP 방식이며, 고정IP는 본인이 서버등의 운용을 목적으로 해당 서비스 업체에 IP를 할당 받았을 경우의 방식이다. 후자의 경우에 당연히 해당 네트워크 정보(IP,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DNS)를 숙지하여야 한다. 전자의 경우는 당연히 자동이므로 알 필요는 없다.

    3. IP공유기로 접속하는 IP를 숙지 : 이는 해당 설명서에 있으나 일반적으로 192.168.0.1, 192.168.1.1, 192.168.2.1, 192.168.123.254등이 있다. 적당히 찍어본다. 또한 IP공유기로 접속은 인터넷 익스플로어를 사용하는 데 인증창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암호부분에 admin이라는 단어를 입력하여 사용한다. 아니라면 설명서 혹은 IP공유기 공급 업체에 문의 하기 바란다.

    4. 기본정보를 알았으니 IP공유기를 설치하여 모뎀과 IP공유기의 WAN 포트에 다이렉트 케이블로 연결하며, IP공유기의 일반 포트에서 테스트할 1대의 컴퓨터의 랜카드로 역시 다이렉트 케이블을 연결한다.

    5. 모뎀, IP공유기, 테스트 컴퓨터의 전원이 켜진 상태를 확인 후 Win9x나 WinME의 경우 시작-실행에서 command를 입력한 뒤 확인하여 검은색 도스 창이 활성화 시키고, Win2k나 WinXP의 경우는 시작-실행에서 cmd 혹은 command를 입력한 뒤 확인하여 검은색 도스 창이 활성화 상태에서 ipconfig를 입력하여 IP Address는 192.xxx.xxx.xxx, Default Gateway가 192.xxx.xxx.xxx(IP공유기의IP)인지를 확인하여 확인 되면 정상으로 다음단계로 진행한다. 만일 IP Address부분이 0.0.0.0, 169.xxx.xxx.xxx 이와같이 잡힌다면 모뎀, IP공유기, 컴퓨터를 모두 전원을 내린 뒤 모뎀->IP공유기->컴퓨터 순으로 차례대로 전원을 공급한 후 다시 정상적인상태를 확인한다. 만일 그래도 잘 안된다면 전문가에게 문의하기 바란다.

    6. 컴퓨터에서 브라우져를 열어 IP공유기의 접속 IP로 접속을 한다.

    7. 설정마법사나 외부 네트워크 설정방법등으로 가서 현재 자신에게 알맞는 인터넷 서비스 방법을 참고로 설정을 한다. 설정이 어려우면 설명서를 참고하거나 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설정 완료하면, 정상적으로 서비스가 되는지 인터넷을 확인한다. 잘 된다구요? 그럼 이제 IP공유기가 지원하는 한 또는 허브를 더 확장하면 일반적으로 하나의 IP로 25대정도 무난하게 서비스를 할 수 있다. 253대까지 가능하다는 예기는 무의미 하다고 하겠다. 안되는 건 아니지만, IP공유기가 뚜껑이 열릴 것이다(?).


    ●구축사례

  • 2대의 컴퓨터 인터넷 공유
    1. 인터넷 연결 공유 기능 이용(각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LAN 카드 1개가 장착된 것으로 가정).
      -준비물 : 다이렉트 케이블 1개, 크로스 케이블 1개.
    2. IP 공유 프로그램 이용.
      -준비물 : IP 공유 프로그램(SYGATE) 1개, 허브 1개, 크로스 케이블 1개, 다이렉트 케이블 2개.
    3. IP 공유기 이용.
      -준비물 : IP 공유기 1개, 다이렉트 케이블 3개.
  • 여러대(3대 이상)의 컴퓨터 인터넷 공유

    1. 인터넷 연결 공유 기능 이용(각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LAN 카드 1개가 장착된 것으로 가정).
      -준비물 : 허브 1개, 다이렉트 케이블 여러개(연결할 컴퓨터 대수 + 1)
    2. IP 공유 프로그램 이용.
      -준비물 : IP 공유 프로그램(SYGATE) 1개, 허브 1개, 크로스 케이블 1개, 다이렉트 케이블 여러개(연결할 컴퓨터 대수).
    3. IP 공유기 이용.
      -준비물 : IP 공유기 1개, 다이렉트 케이블 여러개(연결할 컴퓨터 대수 + 1).
  • 매우 많은(IP 공유기 1개에 허브 다수개) 컴퓨터 인터넷 공유(좋은 성능을 위해 IP공유기 1개를 통해 25대까지 접속 허용)
    초과되는 컴퓨터에 대해서는 허브에 허브를 혹은 IP 공유기에 허브를 연결하면 된다. 이때 허브와 허브 연결이나 IP 공유기와 허브의 연결은 둘다 일반 포트일 경우는 다이렉트 케이블을 사용하며, 크로스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는 허브와 허브의 일반포트 혹은 허브와 IP 공유기의 일반포트 연결시 사용한다. 그리고 많은 대수를 연결할 경우는 스위칭 허브를 사용한다.
    -준비물 : IP 공유기 1개, 크로스 케이블 여러개(허브 대수), 다이렉트 케이블 여러개(연결할 컴퓨터 대수 +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