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웃도어/탐조-후기

시흥 갯골생태공원, 월곶, 배곧 대중교통 뚜벅이 탐조 - 뒷부리도요, 마도요, 저어새, 해오라기, 흑꼬리도요 (2025-08-30)

야생화정보마당 2025. 8. 30. 12:38
반응형

- 이번 여행 중 탐조된 새 목록(가나다순, *표시는 텃새)

*검은머리물떼새, *괭이갈매기, 깝작도요, 뒷부리도요, 마도요, 민물가마우지, 삑삑도요, 쇠백로, 알락할미새, *왜가리, 저어새, 중대백로, 중백로, 중부리도요, 청다리도요, 해오라기, 흑꼬리도요, *흰뺨검둥오리 : 18종

 

비가 온다고 합니다. 야무지게 우산도 챙기고 새 구경을 하러 갑니다.

새 구경할 곳은 주로 갯벌지역으로 바다 물빠짐이 중요하기에 미리 물때를 살펴봅니다. - 월곶포구

월곶포구 물때표, 월곶포구 바다날씨, 월곶포구 바다정보 통합검색 - 바다타임

 

월곶포구 물때표, 월곶포구 바다날씨, 월곶포구 바다정보 통합검색 - 바다타임

 

www.badatime.com

 

만조가 오전 7시 52분, 간조가 오후 2시 10분

물이 너무 차면 갯벌이 드러나지 않으므로 새들이 먹이 사냥이 어렵고,

물이 너무 빠지면 먼 갯벌에서 새들이 먹이 사냥하는 경우 구경하기가 힘든 문제가 있습니다.

 

신현역에서 출발합니다. 다행히 아직 비는 내리지 않네요.

 

박주가리

 

익모초

 

부추

 

중대백로 - 크롭 사진입니다.

 

전동싸리

 

비수리(야관문)

 

더덕

 

미국나팔꽃

 

층층잔대

 

박하

 

참깨

 

달맞이꽃

 

물달개비

 

해오라기 - 유조(어린새). 크롭 사진입니다.

 

깝작도요 - 여름깃. 크롭 사진입니다.

 

삑삑도요 - 여름깃. 크롭 사진입니다. 깝작도요인 줄 알았는 데 자세히 보니 삑삑도요네요.

 

해오라기 - 유조(어린새). 크롭 사진입니다.

 

깝작도요 - 여름깃. 크롭 사진입니다.

 

해오라기 - 유조(어린새). 크롭 사진입니다.

 

쇠백로 - 크롭 사진입니다.

 

알락할미새 - 크롭 사진입니다.

 

알락할미새 - 크롭 사진입니다.

 

중대백로 - 크롭 사진입니다.

 

중백로 - 크롭 사진입니다.

 

연꽃

 

흰뺨검둥오리 - 크롭 사진입니다.

 

괭이갈매기 - 크롭 사진입니다.

 

농게

 

농게

 

흑꼬리도요 - 크롭 사진입니다. 무리가 나타납니다. 아직 만조 시간이 지난 지 얼마 되지 않아 드러난 갯벌이 적어서 그런지 모여 있습니다. 우측에 왜가리가 혼자 지켜 보고 있네요.

 

괭이갈매기 - 1회 겨울깃. 크롭 사진입니다.

 

민물가마우지 - 크롭 사진입니다.

 

청다리도요 - 크롭 사진입니다.

 

흑꼬리도요 - 크롭 사진입니다.

 

뒷부리도요 - 여름깃. 크롭 사진입니다.

 

뒷부리도요 - 크롭 사진입니다.

 

흑꼬리도요 - 암컷 여름깃. 크롭 사진입니다.

 

왜가리 - 크롭 사진입니다.

 

저어새 - 크롭 사진입니다.

 

소래 - 절대 가지않는 곳입니다.

 

소래 앞으로 오니 슬슬 검은머리물떼새들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검은머리물떼새 - 크롭 사진입니다.

 

검은머리물떼새 - 크롭 사진입니다.

 

마도요 - 크롭 사진입니다.

 

중부리도요 - 크롭 사진입니다.

 

흑꼬리도요 - 크롭 사진입니다.

 

해오라기 - 유조(어린새) - 크롭 사진입니다.

 

마도요 - 크롭 사진입니다. 다리에는 식별표, 등에 수신기가 부착 되어 있네요.

 

흑꼬리도요 - 크롭 사진입니다.

 

신현역에서 출발하여 월곶역에서 마무리.

7시간 넘게 걸었고 걸은 거리는 19Km입니다.

중간에 비가 한 두번 내리긴 했지만, 걷는 데 지장 없었고,

도요새 7종과 더불어 이제는 텃새가 아닌가 생각되는 저어새와 해오라기가 심심찮게 보여서 즐거웠습니다.

화성에서 봤던 민물도요, 흰물떼새, 개꿩은 볼 수 없었습니다.

처음 시흥 갯골생태공원에 도착했을때는 만조때라서 새를 관찰하기 위해 기다렸고, 월곶에 도착할 쯤엔 물이 너무 빠져서 새들이 대부분 멀리 있는 경우라서 관찰이 쉽 지 않았네요.

월곶과 배곧의 차이를 검색해보니 곶은 바다쪽으로 길게 내민 땅을 의미하고, 배곧은 매립지에서 교육도시를 표방하며 배움곳(배우는 곳)이 배곧으로 변경되었다고 하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