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충전 케이블 종류(micro 5핀, C 타입, 8핀)도 그렇고, SSD 규격도 그렇고, 뭔놈의 규격이 그렇게 복잡한 지 그 덕분에 잘못된 제품 구매해서 저처럼 낭패를 겪는 분들이 좀 없으셨으면 하는 바램으로, 글을 작성해 봅니다.
우선 SSD 종류는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1. 2.5"(인치) SATA SSD
2. M.2 SATA SSD - B key, B & M key
3. M.2 PCIe NVME SSD - M key, B & M key
위의 SSD 종류중에 노트북에 내장되는 것은 2. 3. 두가지입니다.
노트북에 장착을 하려면, 첫째 2.( M.2 SATA SSD)이냐, 3.(M.2 NVME PCIe SSD)이냐가 가장 중요하고,
그 다음 크기(길이)를 노트북 소켓에 장착이 가능한 부분인 지입니다.
길이는 2230, 2242, 2260, 2280 으로 나뉘어지고, 숫자가 작으면 길이가 짧고, 숫자가 많으면 길이가 깁니다. 제 경험에 의하면 2242와 2280으로 확인했고 아래 사진을 보고 설명을 하자면,
첫번째는 M.2 SATA - B & M key 2242 타입이고,
두번째는 M.2 SATA - B & M key 2280 타입이고,
세번째는 M.2 PCIe NVME - M key 2280 타입입니다. -> 요 제품이 제가 보유한 ASUS 노트북에 맞는 SSD 였습니다.
위에 SSD 왼쪽에 접촉부를 보면 홈이 아래 위로 2개 뚫린 것이 있고, 위에만 뚫린 것이 있는데,
아래에만 뚫렸으면 M key, 위에만 뚫렸으면 B key, 위아래 두개 뚫렸으면 B & M key 입니다.
B & M key는 M.2 SATA와 M.2 PCIe NVME 모두 있으므로, 제품 구매 시 혼동하지 않으려면
M.2 SATA 를 구매하시려면 M.2 SATA 128GB(용량)으로 검색하여 제품에 SATA가 명기되어 있고, M key 또는 B & M key로 구매하시면 되고,
M.2 PCIe NVME 를 구매하시려면 M.2 NVME 128GB(용량)으로 검색하여 제품에 PCIe나 NVME가 명기되어 있고, B key, 또는 B & M key로 구매하시면 됩니다.
아래는 M.2 SATA SSD의 리더기의 접촉부를 찍어 봤습니다. 보시면 아래쪽(왼쪽)에 홈이 파여 있죠? 따라서 M.2 SATA 방식의 M key, B & M key의 제품을 장착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M.2 PCIe NVME SSD의 소켓인 데, 바로 제가 보유중인 ASUS 노트북의 방식입니다. 위쪽(오른쪽)으로 홈이 파여 있죠? 따라서 M.2 PCIe NVME SSD 방식의 B key, B & M key의 제품을 장착할 수 있습니다.
설명이 좀 길었는 데, 본인은 백업을 자주 하는 타입이라서, 128GB 용량이면 충분해서 M.2 PCIe NVME 128GB SSD를 구매했습니다. 새 제품은 아니고, 다른 노트북에서 탈거한 중고제품이라고 합니다. 가격은 16390원(배송비 3000원 포함)에 구매했구요.
뒤집은 모습입니다.
ASUS 노트북과 함께 찰칵!
장착을 위해 뒤집어서 9개의 십자 나사를 풀고
자세한 분해 방법은 아래 동영상 링크를 참고 하시구요
ASUS BR1100 | Reduce Down Time and Costs for Servicing Student Devices - YouTube
아래와 같이 키보드 쪽을 뗴어 내니
중앙 우측에 노란 케이블 아래 쪽에 M.2 PCIe NVME SSD를 장착할 수 있는 소켓이 보입니다.
2280 사이즈의 제품을 구매해야 나사로 정확히 장착이 가능하겠죠?
구매한 제품을 놓아 봅니다.
소켓에 장착 후, 우측편에 나사를 체결합니다.
나사 체결 후 모습입니다.
원래 위의 SSD 장착 작업 전에 쇼트 방지를 위해 이 커넥터 2개를 제거 후 장착 후 다시 이 커넥터 2개를 장착하라고 동영상에는 소개되어 있지만, 본인은 그냥 장착했습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장착된 모습입니다.
노트북을 부팅하고 나니 디스크 관리자가 자동 실행되면서 새로운 디스크를 인식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SSD를 인식했다는 말이겠죠. 차근 차근 진행 하고.
인식된 SSD (할당되지 않음) -> 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볼륨 지정을 합니다.
기존에 불편하게 사용했던 외장 USB 메모리의 내용들을 새로 장착된 SSD에 옮기고 있습니다.
CMOS 화면에서 장착된 SSD의 모습을 확인하려면,
부팅 시 F2 키를 눌러서 CMOS 화면에 들어간 뒤
중간에 Storage에 SSD(128.0GB)가 있는 지 확인하면 됩니다. Device Type은 NVMe라고 되어 있죠?
> 버튼을 클릭하면 기존에 장착된 내장 디스크도 확인 가능합니다. Device Type이 eMMC로 되어 있고 용량은 62.5GB라고 나오네요.
이 용량이 256GB 정도 되었다면 아마 추가로 SSD를 장착하지 않았을텐데, 기본 용량으로는 노트북 사용하기 힘들어서 추가로 128GB 정도의 SSD를 장착하게 되었습니다.
처음엔 잘 몰라서 M.2 SATA SSD를 장착하려고 했는 데, B & M key 방식이라 장착은 되지만, Device Type이 PCIe(NVMe)방식이 아니어서 계속 인식이 안되는 부분을 이해 못했는 데,
차분히 이런 저런 정보들을 보다 보니 아! M.2 SATA가 아닌 M.2 PCIe NVMe 방식으로 구매해야 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본인의 노트북에 추가 장착이 필요한 경우 장착할 소켓에 윗쪽(오른쪽)에 홈이 막혀 있으면 M.2 PCIe NVMe SSD를 구매하시고, 아래쪽(왼쪽)에 홈이 막혀 있으면 M.2 SATA SSD를 구매하시길 바랍니다.
'정보 >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계리 은행나무, 장수동 (만의골) 은행나무 비교 (2024-11-07) (2) | 2024.11.07 |
---|---|
영화 와일드(Wild), 인투 더 와일드(INTO THE WILD) 공통점 (0) | 2022.12.27 |
교배종 (교배 채소, 교배 과일, 교배 동물) 종류 (2022-12-07) (0) | 2022.12.07 |
열무 김치 담그기 첫 도전기 - 열무 5단(1단에 2Kg) 기준 (2022-09-29) (0) | 2022.09.30 |
은평구 종량제 및 음식물용 봉투 가격 (2022-08-05) (0) | 2022.08.05 |